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부동산 뉴스

실거래가 내린 서울 아파트 속속 등장
박정열과장|2021-03-23 조회수|813

서울에서 직전 거래 대비 매매가격이 하락한 아파트들이 점차 늘고 있다. 정부가 허위 신고가 거래에 대해 집중단속을 벌이는 데다 ‘2·4 공급대책’, 공시가격 상승, 전세가격 상승세의 둔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분석한다. 다만 전체적인 매매가격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어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보기엔 아직 이르다는 견해도 나온다.

21일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공개된 실거래가 정보를 보면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84㎡(6층)의 경우 지난 2일 23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동일한 평형(6층)의 직전 거래인 지난달 24일의 24억5000만원 대비 1억3000만원 거래가가 낮아진 것이다. 서초동 서초5차e편한세상 158.2㎡도 1월20일엔 20억원(2층)에 거래됐지만 지난 3일에는 18억3000만원(7층)으로 매매가가 떨어졌다. 서울 서남권이나 강북권에서도 매매가가 직전 대비 3000만~7000만원가량 떨어진 거래가 여러 건 확인된다.

전체 매매거래에서 직전 거래보다 가격이 떨어진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는 추세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정보를 보면 가격 하락 아파트 비중은 올 1월 18.0%(2441건 중 493건)에서 2월 들어 24.9%(1669건 중 415건)로 높아졌다. 3월(1~17일 기준)에 들어서는 비중이 38.8%(281건 중 109건)까지 확대됐다.

업계에서는 3월 들어 유독 비중이 높아진 점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국회 등을 통해 신고가로 실거래가를 등록한 뒤 이를 취소한 사례가 급증한 사실과 함께 이 같은 행위가 부동산 가격을 교란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정부가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특정 개인이 중개·매도·매수인 등을 번갈아가며 36건의 취소 거래에 관여한 경우도 확인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25일부터 취소 사례를 중심으로 호가 조작 등 불법행위가 있었는지 집중 점검을 벌이고 있다. 서울 용산의 한 공인중개사는 “실거래가는 호가 및 이후 거래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며 “허위 신고로 가격을 올리는 방법이 막히면서 말 그대로 ‘실거래가’가 시장에 반영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2·4대책에 따른 추가공급 기대감과 공시가격 상승 등으로 매수심리는 줄고 매도심리는 높아진 영향도 작용했다. KB부동산이 집계하는 ‘매수우위지수’를 보면 3월 1주차 96.2에서 2주차 90.3, 3주차 82.4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지수가 100 미만이면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날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의 집계에서도 서울 아파트 매물은 4만6219건으로 한 달 전보다 14.3% 증가했다. 매매가와 직결되는 전세가격도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다. 부동산114의 집계를 보면 지난주 서울의 전셋값은 0.05% 상승해 전주(0.10%)보다 상승폭이 절반 수준으로 꺾였다.

다만 서울 지역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은 여전히 상승추세라 아직 가격하락시기로 접어들었다고 보기엔 이르다고 업계는 본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 데 따른 피로감과 지난해 구매시기를 당겨 아파트를 매입한 데 따른 수요위축으로 시장이 숨고르기 상태”라며 “향후 공시가격 상승에 따른 절세매물의 등장이나 금리의 변동 등을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